깃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칭 전략인 GitFlow(깃플로)의 단점을 분석합니다.

단점 1: 불필요한 브랜치 link

GitFlow는 너무 많은 수의 브랜치를 요구합니다. 이들 중 일부는 없어도 크게 상관 없습니다:

  • GitFlow는 각 릴리스 별로 브랜치를 요구합니다. 그러나 이미 릴리스를 위해 버전 별 태그가 존재하는 상황에서, 릴리스 브랜치는 불필요합니다.
  • master 브랜치는 최신 안정 릴리스를 표현하는 것이 전부일 뿐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. 대부분의 분기는 master가 아니라 develop에서 이루어집니다. 만약 이미 릴리스된 버전에 문제가 있어 핫픽스가 필요하다면, 특정 버전 태그로 간 뒤 거기서 브랜치를 분기하면 됩니다.

단점 2: 혼란스러운 기본값 브랜치 이름 link

깃에는 기본값 브랜치(default branch)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. 저장소를 복제할 때, 풀 리퀘스트를 수락할 때 기본적으로 선택되는 브랜치를 의미합니다.

개발의 편의성을 위해 기본값 브랜치는 개발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랜치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 그렇지 않으면 매번 저장소를 복제할 때마다 개발용 브랜치(GitFlow에서는 develop)로 바꾸는 수고를 해야 합니다. 이렇게 할 경우 외부 사람이 우리 저장소를 살펴볼 때 안정 버전 대신 개발 버전을 우선적으로 보게 된다는 문제가 있지만, 깃은 외부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활발히 개발하는 사람을 위한 도구입니다. 외부 사람이라면 깃허브(GitHub) 릴리스같이 별도의 기능을 통해 접근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.

GitFlow에서 개발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랜치는 develop입니다. 반면 일반적으로 기본값 브랜치는 master라는 이름을 가집니다. master가 아닌 다른 이름을 기본 브랜치 이름으로 사용하는 건 처음 보는 사람에게 약간의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developmaster로 바꾸고, 기존의 masterstable, current, latest같이 최신 안정 릴리스 버전임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이름을 가지도록 합시다.

불만: 단수형 단어 사용 link

단점이라고 할 정도까지는 아니지만, 저는 GitFlow가 단수형 단어를 사용해 브랜치 이름을 짓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.


일반적으로 브랜치는 그 이름을 통해 어떤 브랜치인지를 표현합니다. 하지만 레퍼런스라 불리는 더 긴 이름을 통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. 브랜치의 레퍼런스는 refs/heads/<브랜치 이름>과 같이 표현합니다. 태그의 레퍼런스도 존재하는데, refs/heads/<태그 이름>같은 식입니다1.

레퍼런스를 잘 보시면 레퍼런스 이름에 복수형 단어(heads, tags)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저는 레퍼런스와 잘 어울리도록 브랜치 이름에도 복수형 단어를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. 다음 표를 보세요. 뭐가 더 자연스럽습니까:

  단수형 복수형
브랜치 이름 feature/foo features/foo
레퍼런스 refs/heads/feature/foo refs/heads/features/foo
결과 단수형과 복수형 혼용 자연스러움

단점 3: 브랜칭 전략이 반드시 필요한가 link

이건 브랜칭 전략이라는 것의 근본적인 문제입니다. 과연 GitFlow같은 엄격한 브랜칭 전략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까요?

브랜치를 복잡하게 구성한다고 해서 버전 관리를 더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깃에서 가장 중요한 건 코드의 기록을 담고 있는 커밋입니다. 변경 사항을 어떻게 잘 쪼개서 커밋할까, 커밋 메시지를 어떻게 맛깔나게 적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.

GitFlow는 분명 소스 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좋은 브랜칭 전략입니다. 하지만 모든 소프트웨어에 알맞는 방식은 아닙니다. GitFlow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여러분의 브랜칭 전략을 결정하는데 참고하는 용도로만 활용합시다. GitFlow 외에도 GitHub flow마이크로소프트의 브랜칭 전략이 있으니 참고해보세요.

참고 link